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튜브 숏츠 수익화 구조, 긴 영상과 다른 핵심 원리

by 소낙비돌 2025. 7. 9.
반응형

긴 영상과 다른 핵심 원리

유튜브 숏츠 수익화, 긴 영상처럼만 하면 충분할까요?

사실 알고 보면 구조부터 CPM 단가까지 완전히 다릅니다.

짧은 영상 하나로도 수익을 만들려면 숏츠 펀드와 광고수익 구조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숏츠 펀드 vs 광고 수익’의 핵심 원리와 긴 영상과 다른 점을 실제 수익 흐름과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숏츠 펀드 기본 구조

 

먼저 유튜브 숏츠 수익화의 시작은 바로 ‘숏츠 펀드(Shorts Fund)’입니다.

유튜브는 숏츠 제작자에게 별도의 지원금을 주는데, 이 펀드는 조회수와 참여도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해 일정 조건이 되면 보너스 형태로 지급됩니다.

하지만 펀드는 한정성이 크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한 달에 얼마가 터져도 유튜브가 정한 예산 범위 안에서만 지급되므로 무조건 무제한으로 수익이 늘어나는 구조는 아니라는 것이죠.

특히 펀드 기준은 국가별, 채널별로 달라서 똑같은 조회수라도 지급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숏츠만으로 장기적인 수익화를 노린다면 펀드에만 의존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광고 수익 분배 원리

 

최근 유튜브는 숏츠에도 광고 수익 배분 구조를 본격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긴 영상은 보통 영상 시작, 중간, 끝에 광고를 삽입해 애드센스 광고 수익을 얻습니다.

하지만 숏츠는 15~60초 내외의 짧은 콘텐츠라 긴 영상과 동일한 광고 구조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숏츠는 광고가 별도로 붙는 대신, ‘광고 수익 풀(Revenue Pool)’ 구조를 활용합니다.

즉, 짧은 광고가 반복 재생되면 총 수익 풀에서 내 쇼츠가 기여한 시청 시간에 따라 일정 비율을 배분받는 방식입니다.

이 구조는 긴 영상보다 CPM이 낮게 시작되지만, 반복 시청과 바이럴이 잘 터질수록 수익이 꾸준히 발생하는 강점이 있습니다.

 

즉 긴 영상이 ‘시청자 1명이 510분 시청’이라면, 숏츠는 10초30초 영상이 반복 시청되면서 시청 횟수는 훨씬 많이 쌓이고,

이 반복 재생이 광고 수익의 핵심이 됩니다.

 


 

 : 긴 영상과 CPM 비교

 

숏츠 수익화에서 자주 나오는 오해 중 하나는

“긴 영상이 CPM이 높으니 숏츠는 무조건 수익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맞습니다. 일반적으로 긴 영상은 CPM(1000회 노출당 광고단가)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영상의 길이가 길수록 광고를 여러 개 붙일 수 있고, 시청시간이 길어져 애드센스 RPM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숏츠는 ‘짧지만 반복 시청으로 총 노출수를 높인다’는 점에서 접근법이 다릅니다.

특히 10초 쇼츠가 1만 번 재생되는 것과 10분 영상이 100번 재생되는 것의 차이를 생각해보면

‘짧고 반복되며 알고리즘에 더 오래 뜰 가능성’이 있는 숏츠가 어떻게 수익화를 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긴 영상과 숏츠 구조의 핵심 비교입니다.

 

📊 포인트 표 예시 — 긴 영상 vs 숏츠 구조 비교

수익 구조 애드센스 광고 삽입 숏츠 펀드 + 광고 Revenue Pool
광고 단가 CPM 상대적으로 높음 CPM 상대적으로 낮음 (반복 시청으로 보완)
핵심 지표 시청시간(Watch Time) 반복 시청률(Loop Views), 알고리즘 노출
장기 수익성 1인당 체류시간 길수록 유리 짧지만 반복 조회수 높을수록 유리

 


 

 결론 & 행동유도

 

결국 숏츠 수익화의 핵심은 펀드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광고 수익 구조와 반복 시청률까지 함께 이해해야 짧아도 꾸준히 돈이 되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점입니다.

짧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긴 영상과 다르게 숏츠는 작은 아이디어 하나로

조회수가 10만, 100만으로 터질 수도 있습니다.

행동유도

👉 다음 글: [2편] 숏츠 펀드 vs 광고수익 비교에서

실제 수익 사례와 펀드 지급 조건까지 이어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