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혹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인데 신청기간 놓칠까 걱정되시나요?
목차
- 1️⃣ 신생아·사망자 지급 가능 여부
- 2️⃣ 대리 신청 방법
- 3️⃣ 군인은 PX 사용 OK
- 4️⃣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신청
- 5️⃣ 농어촌 이사 시 추가 지원
- 6️⃣ 취약계층·차상위·기초수급자
- 7️⃣ 미성년자 직접 신청
- 8️⃣ 사용처 한눈에
- 9️⃣ 배달앱·키오스크 가능 여부
- 🔟 대중교통·택시 사용 가능
- ✅ 법적 고지 & 유의사항
1️⃣ 신생아·사망자 지급 가능 여부
- 기준일 2025년 6월 18일 이후 출생 신생아, 출생신고 후 7월 21일~9월 12일 이의신청하면 1차 지급 대상 가능
- 같은 기간 사망자는 본인·대리 모두 신청 불가
- 지급받았다면 잔액은 원칙적으로 환수되지만, 세대주 사망 시 미성년 가족 일부 전환 사용 가능
2️⃣ 대리 신청 방법
▲ 대리 신청 필수 서류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법정대리인: 대리인 신분증, 위임장, 관계증명
- 동일 세대원: 주민등록상 확인 필수
- 배우자·직계존비속(세대원 외): 추가로 지급대상자 신분증 사본 필요
3️⃣ 군인은 PX 사용 OK
- 군인은 나라사랑카드로 지급받아 군마트(PX) 사용 가능
- 주소지 관할 지자체에 우편 신청 가능
- 위임장은 원본 대신 사진 제출, 현역복무확인서도 사진으로 가능
4️⃣ 요양병원·시설 입소자 신청
- 일반 대리인 외에 형제·자매도 대리 신청 가능
- 위임장 작성 어려운 경우 구비서류 간소화
- 지자체의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로 현장 접수 가능
5️⃣ 농어촌 이사 시 추가 지원
- 6월 18일 이후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전입 시 사용지역 변경 + 추가 5만 원 가능
- 신용·체크카드 지급은 지역 변경 자유롭지만, 지역사랑상품권·선불카드는 변경 불가
6️⃣ 취약계층·차상위·기초수급자
- 차상위계층/한부모가구: 1인당 30만 원
- 기초생활보장수급자: 1인당 40만 원
- 6월 18일 기준 아니어도 9월 12일까지 이의신청으로 자격 얻으면 가능
7️⃣ 미성년자 직접 신청
- 원칙: 동일 세대 세대주가 신청·수령
- 예외: 세대주 부재/양육자 변경/아동학대 피해자 보호시설 거주 → 직접 신청 가능
8️⃣ 사용처 한눈에
- 대형마트·백화점은 불가
- 단, 대형마트 내 독립 임대매장(약국·미용실 등)은 가능
- 편의점은 연 매출 30억 이하 가맹점만 가능 (직영점 불가)
9️⃣ 배달앱·키오스크 가능 여부
- 배달앱은 원칙상 불가
- 단, 배달기사를 만나 가맹점 단말기로 대면 결제는 가능
- 키오스크·테이블 오더는 PG사 결제로 제한될 수 있음
🔟 대중교통·택시 사용 가능
- 버스·지하철은 선불·후불 교통카드 사용 불가
- 개인택시: 차고지가 사용지역이면 가능
- 법인택시: 연 매출 30억 이하라면 가능
✅ 📌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고지
- 본 글은 행정안전부와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자료를 기반으로 한 국민안내용 정보입니다.
- 출처 표기 필수, 허위 왜곡 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이 가능하나 보도사진 등 원본 이미지 상업적 판매는 금지됩니다.
- 정확한 기준은 반드시 관할 주민센터·행안부 공고문으로 최종 확인하세요.
✅ 작은 실수로 지원금 놓치지 않도록!
✔️ 이의신청 기간 7월 21일~9월 12일 절대 잊지 않기
✔️ 군인·요양시설 입소자, 취약계층은 특별절차 활용
✔️ 사용지역·대리신청 서류 꼼꼼히 준비
✔️ 지역 소상공인 가맹점에서 알뜰히 사용